2주일 전 자동차 종합검사를 받고 왔어요. 벌써 2년이라는 시간이 금방 지나갔네요. 검사 주기는 2년에 한 번으로 귀찮은 면도 있지만, 안전과 지구의 환경을 생각하면 반드시 받아야 합니다. 이번 글에는 자동차 정기검사에 대해 이야기해보겠습니다. 더불어 검사 비용, 기간, 과태료 등 전체적으로 살펴볼게요.
자동차 정기검사 종합검사 차이는?
종합검사는 정기검사 항목에 배출 가스만 추가된 것이에요. 대상은 대기 환경 규제지역에 등록된 차량입니다. 이 지역은 수도권과 광역시 및 인구 50만 이상 도시이며, 그 외 지역은 정기검사를 받게 됩니다.
자동차 종합검사 비용
검사 비용은 공단과 민간 검사소에 따라 약간의 차이가 있어요. 차이는 공담 검사소는 차종, 검사 종류, 검사 방식에 따라 비용이 세분화되어 있습니다.
- 검사비용 : 17,000~ 29,000원
- 종합비용 : 48,000~ 65,000원
자동차 종합검사 기간은?
검사 기간은 차종마다 차이가 있습니다. 비사업용 승용 자동차는 2년, 사업용 승용 자동차는 1년, 경형 소형 및 화물차도 1년, 사업용 대형 화물차는 6개월 등 차량의 크기와 사용 목적에 따라 검사 기간이 다릅니다.
검사 기간이 다가오면, 도로교통안전공단은 우편 또는 카톡으로 안내물을 전송합니다. 유효 기간은 만료일 앞뒤 31일 이내이며, 이 기간이 넘어갈 경우 과태료를 납부하게 됩니다. 이 부분은 아래에 자세히 살펴볼게요.
자동차 종합검사 과태료 얼마인가?
과태료는 유효기간 이후 만료 기간에 따라 차이가 있는데요. 만료 이후 30일 이내는 20,000원이고, 30일 이후에는 3일마다 경과 시 10,000원이 누적되어 가산됩니다.
또한 유효기간 만료 후 115일 이후에는 최대 30만 원 과태료를 납부해야 해요. 그러므로 꼭 기간 내에 검사를 받으셔야 해요. 만약 이 기간에 자동차 정기검사를 받지 못할 경우 연장 신청도 가능하다고 합니다.
검사 결과 합격 & 불합격
꾸준하게 차량 관리를 했다면, 불합격을 받을 경우가 거의 없어요. 다만 관리가 소홀했다면, 불합격 또는 시정 권고가 나올 수도 있습니다. 불합격인 경우 문제가 있는 부분을 수리한 후 10일 이내 재검사를 받으면 됩니다.
시정권고는 문제인 부분을 수리하고 운행해도 된다는 권고만 받게 됩니다. 간혹 검사를 받아도 통과하지 못하는 것을 알고, 과태료를 내더라도 버티는 분들이 있으신데요. 그러면 번호판 영치나 다른 제재를 받을 수도 있으니, 안전을 위해서 수리하는 것이 좋습니다.
자동차 정기검사 및 검사 비용, 기간, 과태료 등 전체적으로 살펴보았습니다. 자동차 정기검사는 꾸준히 받으셔야 되겠습니다.
'유용한 자동차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동차 구간단속 기준 및 벌금 정리 (0) | 2021.08.13 |
---|---|
전기차 충전시간 및 충전하는 법 (0) | 2021.08.13 |
하이패스 미납요금 납부하는 법 4가지 정리 (0) | 2021.08.12 |
자동차 에어컨 청소방법 필터 교체 방법 (0) | 2021.08.12 |
전륜구동 후륜구동 차이 장단점 정리 (0) | 2021.08.11 |